산신제
|
정초 또는 정월 14일
|
-
마을 뒷산 2그루의 참나무에서 산신제를 지냈음
|
향교 뒷산
|
1990년대 중단
|
지신밟기
|
15일
|
-
요청하는 상가나 마을 유지의 집을 돌며 지신밟기를 해주고 걸립을 하였음
|
마을 내
|
중단
|
윷놀이
|
15일 오전
|
-
오전부터 각 반별로 경합을 하여 등수별로 상품을 수여함
|
마을 회관
|
전승
|
강줄 드리기
|
15일 오전
|
-
오전부터 줄을 꼬기 시작하면 대략 6시간 정도 소요됨
-
4인 1조로 2개조로 나누어 작업이 이루어짐
|
마을 회관
|
전승
|
마을고사
|
15일 저녁
|
-
정월대보름 행사 안내장에는 ‘향교 기원제’라 소개되어있음
-
마을회관에서 강줄을 메고 홍문거리까지 이동함
-
청산면민속보존회에서 농악을 연주
-
행렬 맨 앞에는 횃불이 앞장서서 불을 밝혀 줌
-
(마을에 인원이 많았을 때는 횃불도 여러 개를 준비하였다고 하나 올해의 경우 2개만 준비함)
-
제물로 쌀, 시루떡, 사과, 배, 대추, 밤,
명태 한 마리를 진설함
-
이장이 먼저 술이 담긴 잔을 두 번 돌려 올리고 절을 세 번 함. 술은 세 번 나누어 홍살문 아래쪽에 뿌림
-
그 뒤로 지역인들이 차례로 술을 올리고 절을 함
|
마을 회관
|
전승
|
강줄당기기
|
15일 저녁
|
-
윗말과 아랫말로 편을 나누어 줄다리기를 함
-
윗말이 이겨야 그 해 풍년이 든다고 함
-
세 번을 겨뤄 윗말이 이기는 것을 관례로 끝남
|
홍문거리
|
전승
|
다리밟기
|
15일 저녁
|
-
다리밟기를 해야 다리가 아프지 않다고 하는 속설이 전해짐
-
줄다리기가 끝나면 강줄을 어깨에 메고 청산교까지 다리밟기를 함
|
청산교
|
전승
|
다리고사
|
15일 저녁
|
-
제물로 명태포, 불밝이 쌀, 사과, 배, 대추, 밤을 진설함
-
마을의 주요인사들이 차례대로 술을 올리고 절을 세 번 함
-
마을 사람들은 잠시 줄을 내려놓고 보름달을 보며 소원을 빌거나 가정의 평안을 기원함
|
청산교 중간지점
|
전승
|
개인 고사
|
15일 저녁
|
-
강줄을 메고 쌓아 놓은 짚단에 똬리를 틀 듯
쌓아 올려 놓음
-
강줄을 태우기 전에 그 앞에 제물을 진설한 후 마을 사람들이 다 함께 절을 하며 제를 지냄
-
제물로 쌀, 사과, 배, 밤, 배추,
마른 명태를 올림
|
강 건너 강변
강줄 앞
|
전승
|
강줄태우기
|
15일 저녁
|
-
강줄을 태우면 액운도 태운다는 속설이 있음
-
타오르는 불길을 보면서 가족의 건강과 가정의 평안을 기원함
-
청산면민속보존회의 풍물소리에 춤을 추기도 함
-
제물은 복을 준다고 하여 따로 챙겨오기도함
|
강건너 강변
|
전승
|
달집태우기
|
15일 저녁
|
-
75여 년 전에는 솔가지로 만든 달집에 불을 지피고 강줄을 태웠다고 함
|
강변
|
중단
|
불꽃놀이
|
15일 저녁
|
-
강줄을 태우고 돌아오는 길에 청산교에서
불꽃놀이를 볼 수 있도록 진행함
|
보청천 강변
|
-
|